서버는 VisualSVN을 사용하고 있고, TortoiseSVN을 사용할때 로그를 남길 수 있습니다. 물론 로그를 수정할 수 있어야 겠지요? 먼저 로그를 보는 방법은 TortoiseSVN -> Show log 를 선택하면 됩니다. 여기에서 리비전 번호와 로그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그를 수정하려면 원하는 리비전 번호의줄에 우클릭 후 "Edit log message" 메뉴를 눌러주면 됩니다. 로그 메시지 수정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뜹니다. "Subversion reported an error: While handling the 'svn:log' property on '/svn/test/!svn/bln/1:Repository has not been enabled to acc..
TortoiseSVN을 사용하다보니 영어 울렁증이 있는 저로써는 좀 힘든감이 있습니다. 그래서 찾아보니 한글어팩이 있더라구요. 뭐~ 한국사람이니 한글을 써야겟죠? 설치는 간단합니다. 아래파일을 받아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32비트 : 64비트 : 그냥 실행하면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만 했다고 한글이 바로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맨땅에 우클릭 -> TortoiseSVN -> Settings를 차례로 눌러준 후 첫화면의 Language 부분이 English로 되어 있는 것을 "한국어 (대한민국)"으로 바꾸어줍니다. 그리고 "적용"!"확인"! 눌러주면 한글언어팩이 적용됩니다. 다시 우클릭을 눌러보면 이렇게 친근한 한글이 보이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금더 svn이 친근하게 느껴만집니다.
소스관리를 하기 위해 서버쪽에 Visual SVN을 설치하였으니 이제 각각의 클라이언트마다 TortoiseSVN을 설치해 주어야 합니다. 2016/09/02 - [IT 생활/SVN] - Visual Svn Server 설치 및 사용방법 - 소스관리 먼저 설치파일을 받으러 가야합니다. 아래 사이트로 이동하여 본인의 OS에 맞는 비트를 선택하여 설치파일을 받아줍니다. 16년 9월 6일 최신버전은 TortoiseSVN 1.9.4 버전입니다. https://tortoisesvn.net/downloads.html 설치파일을 받았다면 받은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해 줍니다. 설치할 때 큰 어려움은 없으니 그냥 실행해서 마법사를 진행하면 됩니다. 설치가 완료 되었다면 아무런 폴더에다 대고 마우스 우클릭을 눌러보면 전에는..
여러명이서 프로그램 개발을 하게되면 소스의 버전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럴때 사용하는 것이 형상관리 툴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버전별로 변화된 코드들을 비교하여 볼 수 있고 사용자들에게 권한을 부여하여 여러명이서 코드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쓰는 조합이라고 말하고 싶은(?) 서버쪽은 VisualSVN과 클라이언트 쪽은 Tortoise SVN입니다. 먼저 비주얼 svn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아래 주소로 접속하여 본인의 서버 환경에 맞게 받아주시면 됩니다. 글쓰는 지금 최신버전은 3.5.4버전이네요. https://www.visualsvn.com/server/download/ 받은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하여 줍니다. 설명이 없는것은 그냥 [Next] 버튼을 눌러 진행하면 ..